CPU Register란?

: CPU내부에 존재하는 다목적 공간

  RAM은 물리적 제약에 의해 비교적 저속이나,

  Register는 CPU와 한 몸이기 때문에 고속이다.

  ( Register >> Cache >> RAM >> HDD ) //컴구조 시간에 배운 기억이;;


레지스터의 종류는 많지만, 우선은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레지스터부터 알아본다.

*추후 control, memory, debug Register들의 공부도 필요하게 될 것같다.


Basic Program execution Register  - General Purpose Registers ( 32bit * 8개 ) //범용레지스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Segment Registers ( 16bit * 6개 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Program Status Control Registers ( 32bit * 1개 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Instruction Pointer ( 32bit * 1개 ) 


먼저 General Purpose Registers에 대해 알아보면,

각각의 크기는 32bit ( 4 byte )이며, 보통의 용도는 상수/주소 등을 저장하는데 쓴다.

특정 어셈블리 명령어에서 특정레지스터를 조작하기도하며, 특정레지스터는 특수용도로 사용된다.


그림과 같이 범용레지스터는

EAX ( Accumulator Operands and result data )

EBX ( Pointer to data in the DS Segment )

ECX ( Counter for String and Loop Operations )

EDX ( I/O Pointer )

EBP ( Pointer to data on the Stack )

ESI ( Source Pointer for String Operations )

EDI ( Destination Pointer for string Operations )

ESP ( Stack Pointer ) 로 구성이 되어있다.

그림에서 반이 나누어진 것을 볼수 있는데,

현재 사용되고있는 32bit기준으로 레지스터가 확장되었기 때문이다.

예전에는 16bit를 사용 하였기때문에 레지스터의 용량 또한 16bit였고, 여기서

확장된(Extend)의미를 붙여 각 레지스터에 E가 붙게 되었다.

새로 레지스터를 만들지 않고 확장시킨이유는 예전과 호환을 위해서라고 한다.


각 범용레지스터의 사용 용도는

EAX ~ EBX레지스터들은 주로 산술연산 (add, sub, xor, or 등) 명령어에서 상수/변수 값의 저장용도로

많이 사용되며 특별히 EAX와 ECX는 다른 특정 용도가 있다.

eax -> 함수 리턴값에 사용             ecx-> 반복loop 카운트수 저장

ESP는 스택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고 있어서, 스택의 PUSH, POP에 따라 값이 변한다.

EBP는 함수 호출시 그 순간의 ESP를 저장하여 리턴 직전에 ESP값을 되돌려서 Stack이 깨지지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.

나중에 나오지만 이것을 Stack Frame 기법이라고 한다.

ESI와 EDI는 특정 명령어들과 함께 주로 메모리 복사에 사용된다.



출처 : 리버싱 핵심원리 (이승원 저)



+ Recent posts